반응형 전체 글334 [후기] 콜로소 도전 환급 습관 형성 챌린지 9기 이번 여름 콜로소에서 진행하는 도전 환급 습관 형성 챌린지 9기에 참가했다. 콜로소는 여름과 겨울에 이런 환급 챌린지를 주기적으로 진행한다. 지난 겨울에도 환급 챌린지에 도전했지만, 평일 미션 막바지에 아쉽게 실패해서 이번에 다시 도전하게 됐다. 콜로소 환급 챌린지는 네이버 블로그에 학습 후기를 정해진 양식대로 꾸준히 남기는 게 중요하다. 9기에서는 최종 미션을 네이버 공식 카페 특정 게시판에 업로드했다. 환급에 실패하는 경우는 다양하겠지만, 대부분은 1) 평일에 올려야 하는 후기를 빠뜨리거나 2) 정해진 양식을 준수하지 않아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환급을 받으려면 평일 미션을 100% 성공해야 한다. 중간 미션과 주말 미션, 최종 미션은 실패하더라도 환급액이 줄어드는 것뿐이지만, 평일 미션을 하.. 2023. 9. 2. 수라도 섬마 먹는 법 수라도는 상시로 열리는 섬이 아니라 모험섬 일정에 맞춰 열리는 섬이다. 모험섬 시간에 수라도에 가서 협동 퀘스트에 참여하면 선혈의 조각이라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협동 퀘스트는 연속으로 두 개가 진행된다. 첫 퀘스트는 한 맺힌 혼령의 절규이다. 맵을 돌아다니는 한 맺힌 혼령을 잡으면 순위에 따라 선혈의 조각을 받을 수 있다. 섬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부지런히 '한 맺힌 혼령'을 잡으면 된다. 두 번째 퀘스트는 놀라운 힘의 승부이다. PvP가 시작되며 미니맵에 보이는 유저들과 겨루면 된다. 어시스트를 하든, 피가 거의 다 까인 유저 막타를 치든 해서 점수를 얻도록 하자. 수라도 섬마를 얻으려면 선혈의 조각을 100개 모아서 섬 중앙에 있는 상인한테서 선혈의 도전장과 교환해야 한다. 선혈의 조각을 100개.. 2023. 8. 31. 에포나 '아기 판다와 함께' 황금 죽순이 있는 위치 에포나 평판 하나씩 도장 깨기를 하는 중. 얼마전부터 판다 푸푸 섬에서 '아기 판다와 함께' 에포나를 진행하고 있다. 에포나를 진행하면 매일 어빌리티 스톤과 전투 경험치 물약을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에포나 평판을 3단계까지 완료하는 데 일주일이 소요된다. 에포나를 진행하다 보면 황금 죽순을 채집하라고 한다. 황금 죽순이 있는 곳으로 가려면 지도에서 해당 위치로 가면 된다 :) 2023. 8. 25. 욘 모험의서 위대한전골 역대급으로 애를 먹였던 욘 모험의 서 요리... 위대한 전골이다. 드디어 끝낸 김에 정리해 본다. 우마르 화장품의 새로운 역사 에포나를 하다 보면 식료품 무역 상자를 얻을 수 있다. 에포나 평판은 하루에 한 번만 획득할 수 있지만, 이 상자는 캐릭터 별로 먹을 수 있다. 너무 안 나와서 캐릭터 다섯 개로 에포나를 진행해서 일주일만에 먹었다. 휴게를 쌓은 다음에 에포나를 완료하면 한 캐릭터 당 2개씩 상자를 먹을 수 있다. 식료품 무역 상자를 열면 축산물, 해산물, 농산물이 랜덤으로 나온다. 보통 축산물이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 축산물이 나오면 위대한 전골 만드는 건 쉽다. 위대한 전골을 만드는 NPC는 위대한 성의 베쥬르. 베쥬르한테 가기 전에 세 군데를 들러서 농산물 전골, 축산물 전골, 해산물 전골.. 2023. 8. 24. [로아TIP] 세상에서 가장 쉬운 각인 설명 (2) 돌 깎기 [로아TIP] 세상에서 가장 쉬운 각인 설명 (1) 각인서 읽기 로아에서 장비를 맞추다 보면 단순히 장비 레벨만 맞추는 게 아니라 각인도 맞춰야 한다. 지인들과 고정으로 레이드를 도는 게 아니라면 매주 공팟에서 파티를 구해 가야 하는데, 그러려면 소위 gametranslator-moct.tistory.com 이번 게시글에서는 각인 맞출 때 가장 관건인 '돌 깎기'를 다룰 예정이다. 소위 97돌을 깎겠다고 수백, 수천을 썼다는 유투버도 종종 있을 만큼 엔드급 스펙을 맞추려고 하면 천장이 없는 컨텐츠이기도 하다. 어빌리티 스톤은 카오스 던전, 가디언 토벌, 군단장 레이드 등에서 랜덤 각인으로 드랍되는 아이템이다. 보통 '돌'이라고 많이 이야기한다. 바로 착용할 수는 없고, 대도시에 있는 어빌리티 스톤 세공사.. 2023. 8. 23.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