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근본취미8

챗지피티로 외국어 공부 도전👀 요즘 듀오링고로 스페인어 공부를 하는데, Max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캐릭터와 음성과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체험을 해볼 수 있어서 한 번 해봤더니 꽤 유용했다. 다음은 스페인어로 해본 버전. 문법에 맞는 표현으로 고쳐주고 더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바꿔주고😲 아주 유용하겠다 싶었는데 문제는 가격... 지금 광고 제거하는 요금 Super 쓰는데 Max로 올릴 만큼의 메리트는 느끼지 못했다. 채팅한 문장이 달라지면 그에 따라 대답도 달라지긴 달라지긴 하지만... 그러던 와중에 챗지피티 추천을 많이 들어서 한 번 시도해보게 됐다. 일단, 러시아어부터 시험해 봤다. 제1외국어인데 요즘 부쩍 예전에 비해 실력이 줄었다는 생각에 아쉬워져서🥲 현지 경험도 쌓고 왔는데, 자주 교류하는 현지인도 없으니 러시아.. 2025. 4. 12.
[러시아어] <콘클라베> 티저 받아쓰기 Понтифик скончался.교황께서 돌아가셨습니다. скончаться - скончиться 서거하다. 별세하다 Престол свободен.이제 교황 자리는 공석입니다. Что произошло?어떻게 된 거죠? происходить - произойти 일이 일어나다 Говорят: инфаркт.심장마비라고 하더군요. Как водятся слухи сильнее, и полтора миллиарда человек внимают им.소문이 어찌나 빨리 퍼지는지 아시지요? 수많은 이들이(15억 명) 그 소문에 귀를 기울인다고요. внимать+3 경청하다. 귀기울이다 Что ж, кардинал Лоуренс?로렌스 추기경, 어때요? Сдаётся мне, что бремя конклав.. 2025. 3. 30.
시원스쿨 러시아어 왕초보탈출 후기 이번에 과외 학생이 이 교재를 미리 구매했다고 해서 수업을 진행해 봤다. 시원스쿨에서 나온 은 입문, 기초, 실전, 이렇게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 권을 전부 다 떼면 TORFL 기초 단계를 학습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교재 가격은 한 권 당 만원으로 무난한 편. 입문자용으로 만들어진 다른 교재와 비교하면 단원마다 나오는 단어 수가 그리 많지 않다. 하루 25분만 공부하면 된다는 컨셉에 맞게 공부할 분량도 작게 쪼개놔서 부담 없이 공부할 수 있다. 다만, 입문자를 여러 번 가르쳐본 입장에서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몇 가지 있었다.  ⭐단어 강세 표시러시아어는 강세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지기 때문에 입문 교재에서는 반드시 강세를 표시해 준다. 그런데 이 교재에는 강세 표시가 아예 되어 있지 않.. 2025. 3. 23.
간만에 해본 받아쓰기(feat. <슬로우 트레인>) 얼마 전에 추천받았던 슬로우 트레인>. 올해 초 특별 편성된 드라마라서 1화가 1시간 반으로 꽤 긴 편이다. 오늘 시간 나는 김에 봤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잃은 삼남매가 살아가는 모습을 담담하게 보여주면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드라마였다. 요즘 단톡방에서 다른 분들이 일본어 공부하는 모습 보고 자극받아서👀 오랜만에 받아쓰기를 해봤다. 그냥 들을 때는 수월하게 거의 알아듣겠다 싶었는데 막상 받아쓰기 시작하면 중간중간에 자신 없는 구간이 튀어나온다. 그래도 오랜만에 해보니까 재밌음😆 2025. 3. 19.
페르시아어 글자 배우기👀 이번에 낯선 외국어 배워보겠다고 일 벌이면서 페르시아어 교재도 구입했다. 한참 예전에 아랍어 배우려고 시도해 본 적이 있어서 아랍어 알파벳은 대충 읽을 줄 아는데, 아예 새로운 어근이라 단어가 너무 안 외워졌던 기억만 남아 있다🙃 아무런 맥락도 없이 이번엔 페르시아어에 꽂혀섴ㅋㅋㅋ 페르시아어 교재를 샀다. The 바른 이란어 첫걸음. 이란어를 다룬 교재가 국내에 많지 않은데... 낯선 언어라 어차피 첫 교재 끝내는 데 오래 걸릴 테니까 뒷일은 미리 생각하지 않기로. 처음에 알파벳부터 떼야 하는데 마침 도움이 되는 유투브 채널을 발견했다. 처음 배우는 외국인 눈높이에 맞게 차근차근 알려주셔서 쉽게 배울 수 있다. 1강이 15분 분량인데 하나도 지루하지 않고, 강의만 들어도 글자 외우는 데 전혀 문제가 없.. 2025. 3. 13.
반응형